본문 바로가기
세상을 읽다 - 지식

장례식장 조문 헌화 절하는법 예절 기독교 천주교 조문 예절

by HANOEL'S PAPA 2024. 1. 10.

 

 
 

Contents

  1. 소개
  2. 장례식장 조문 예절
  3. 기독교와 천주교 조문 예절
  4. 조문 시 유의사항
  5. 상주를 위한 위로의 말

 

 

 

 

 

 

 

 

 

 

 

 

 

 

 


장례식장 조문 헌화 절하는법 예절 기독교 천주교 조문 예절
장례식장 조문 헌화 절하는법 예절 기독교 천주교 조문 예절

 

 

 

 

 

 

  1. 소개

 

장례식장 조문은 고인을 추모하고 유가족을 위로하기 위한 중요한 예절입니다. 이 글에서는 다양한 종교 및 문화에서의 장례식장 조문 예절을 소개하고, 어떻게 헌화를 하고 절을 하는 방법, 그리고 조문 시 유의사항에 대해 자세히 다룰 것입니다.

 

 

 

국화
장례 조문 예절은 상당히 중요합니다.

 

 

 

 

 

 

  2. 장례식장 조문 예절

  공통 예절

외투와 모자 벗기

장례식장에 도착하면 먼저 투와 모자를 벗습니다. 이는 고인을 공경하는 표시로, 예절 중 하나입니다.

조객록 작성 및 부의금

부의 빈소 입구에서 조객록에 본인의 이름과 관계를 작성하고, 부의금을 부의합니다. 부의금은 유가족에게 도움이 되는 경제적 지원을 의미합니다.

가볍게 목례

장례식장에 도착하면 상주와 가볍게 목례를 합니다. 목례는 고인과 그 가족에 대한 경의의 표시이며, 조문의 시작을 나타냅니다.

 

절하는 법

  • 먼저, 양손을 공수합니다.
  • 남자의 경우, 오른손을 위로하고, 왼손을 아래로 합니다.
  • 여자의 경우, 왼손을 위로 하고 오른손을 아래로 합니다.
  • 공수한 손을 눈높이로 올립니다.
  • 왼발을 약간 뒤로 빼면서,
  • 공수한 손으로 바닥을 짚고 무릎을 꿇습니다.
  • 몸을 앞으로 깊이 숙여 절합니다. 이때, 허리는 곧게 펴고, 고개는 숙입니다.
  • 절을 마치면, 일어나서 한 걸음 뒤로 물러섭니다.
  • 장례식장에서는 고인에게 재배를 합니다. 즉, 두 번 절을 하는 것입니다.
  • 첫 번째 절은 고인에 대한 공경심을 표하는 것이고, 두 번째 절은 고인의 명복을 빌기 위한 것입니다.
  • 고인에게 절을 마친 후 상주와 한번 맞절을 합니다.

 

위로의 말

조문 시에는 상주와 가족에게 위로의 말을 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몇 가지 위로의 메시지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고인은 좋은 곳으로 가셨을 것입니다."
  • "상주님과 유가족 분들께도 위로의 말씀을 드립니다."
  • "고인이 살아 계셨을 때의 좋은 일들을 기억하며, 힘내시기 바랍니다."

 

 

 

장례식
고인에게는 재배를 합니다.

 

 

 

 

 

 

 

 

  3. 기독교와 천주교 조문 예절

 

기독교와 천주교에서의 장례식장 조문 예절은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예절 차이점

  • 절을 하지 않음: 기독교에서는 절을 하지 않으며, 목례로 예절을 대체합니다.
  • 목례 및 국화꽃 헌화: 상주와 가족에게 목례를 표시하고 국화꽃을 헌화합니다.
  • 묵념: 국화꽃을 헌화한 후, 영정 앞에서 15도 각도로 고개를 숙여 묵념을 합니다.
  • 상주와 악수: 맞절 시에는 악수를 합니다.
  • 위로의 말: 위로의 말은 기독교적인 의미를 갖추며, 유족에게 힘을 주는 메시지를 전합니다.

 

 

 

 

 

 

 

 

 

 

 

 

  4. 조문 시 유의사항

 

장례식장 조문 시에는 몇 가지 유의사항을 지켜야 합니다.

  • 적절한 옷차림: 짙은 색상의 정장을 입는 것이 좋습니다.
  • 향수와 화장품 사용 주의: 향수나 화장품의 냄새가 강하면 피하는 것이 예절입니다.
  • 상주와 유족의 눈치 살피기: 상황에 따라 적절한 태도를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 적절한 조문 시간 설정: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 사이가 적절한 조문 시간입니다.

 

 

 

 

 

 

 

 

 

 

 

 

 

 

  5. 상주를 위한 위로의 말

 

조문 시에는 상주와 유족을 위로하기 위해 적절한 말을 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는 위로의 말을 위한 몇 가지 예시입니다.

  • "어머님의 명복을 빕니다."
  •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부모님께서 편히 가셨기를 바랍니다."
  • "상주님께서 힘내시길 바랍니다."

 

조문은 고인을 추모하고 유족을 위로하는 소중한 시간입니다. 예절을 지켜 조문을 하면 고인과 유족 모두에게 위로와 안식을 제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