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적은 근로자, 자영업자를 위한 근로장려금, 언제 어떻게 신청해야 할까?
2025년 신청부터 환급까지 빠른 가이드로 준비했어요.
바쁘신 분은 가장 아래 간단요약 보러가세요 !
아래 목차를 클릭하시면 해당 위치로 바로 이동합니다
목차
2025년 근로장려금 신청 일정과 방법
구분 | 신청 기간 | 지급 시기 | 신청 방법 | 대상 소득 |
정기 신청 | 5.1.-6.2. | 8월 말 | 홈택스, ARS, 서면 | 근로, 사업, 종교인 |
상반기 반기 | 9.1.-9.15. | 12월 말 | 홈택스, ARS | 근로소득만 |
하반기 반기 | 3.1.-3.17. | 6월 말 | 홈택스, ARS | 근로소득만 |
기한 후 신청 | 6.3.-12.2. | 1월 말 | 홈택스, 서면 | 근로, 사업, 종교인 |
2025년 근로장려금 신청 일정은 정기와 반기로 나뉘어요. 정기 신청은 5월 1일부터 6월 2일까지로, 2024년 전체 소득을 기준으로 8월 말에 지급돼요. 반기 신청은 상반기(9월 1일-15일, 12월 말 지급)와 하반기(3월 1일-17일, 6월 말 지급)로 나뉘며, 근로소득만 있는 분들 대상이에요. 놓쳤다면 기한 후 신청(6월 3일-12월 2일)도 가능하지만, 1월 말 지급이라 조금 늦어져요. 네이버 전자문서로 안내문 받은 경우 QR코드로 바로 신청 가능해요 :)
신청 방법은 간단해요. 홈택스 앱이나 PC로 접속해 개별인증번호 8자리 입력하면 신청 끝! 안내문 안 받은 분도 홈택스에서 직접입력 신청 가능해요. ARS(1544-9944)로는 주민등록번호와 인증번호 입력하면 빠르게 처리돼요. 신청대리(1566-3636)도 있어서 세무서 방문 없이 편리하게 신청할 수 있죠. 계좌번호 꼼꼼히 확인하세요;;
자동신청 제도도 알아두세요. 2025년부터 자동신청 대상이 전 연령으로 확대됐어요. 신청 기간에 동의하면 2년간 조건 충족 시 자동 신청되고, 지급받으면 2년 더 연장돼요. 신청 안내문 받은 분들은 국민비서, KT 알림문자 등으로 간편 신청 링크 받아볼 수 있으니 놓치지 마세요!
궁금한 점 있으면 바로 문의하세요. 국세청 상담센터(1566-3636, 평일 9시-18시)로 전화하면 친절하게 알려줘요. 홈택스에서 신청 요건과 예상 금액도 확인 가능하니 미리 체크하면 좋아요. 신청 놓치면 혜택 못 받으니, 달력에 일정 체크해두세요 :)
근로장려금 환급 일정과 금액
구분 | 지급 시기 | 최대 지급액 | 가구 유형 | 정산 방식 |
정기 | 8월 말 | 165-330만 원 | 단독, 홑벌이, 맞벌이 | 연간 정산 |
상반기 반기 | 12월 말 | 최대 35% 지급 | 근로소득자 | 6월 정산 |
하반기 반기 | 6월 말 | 잔액 정산 | 근로소득자 | 연간 정산 |
기한 후 | 1월 말 | 165-330만 원 | 단독, 홑벌이, 맞벌이 | 연간 정산 |
환급 일정은 신청 방식 따라 달라요. 정기 신청은 8월 말 지급으로, 단독가구 최대 165만 원, 홑벌이 285만 원, 맞벌이 330만 원까지 받아볼 수 있어요. 반기 신청은 상반기분 12월 말 35% 지급 후, 하반기분은 6월 말에 잔액 정산돼요. 기한 후 신청은 1월 말 지급이라 늦어지니 정기나 반기 놓치지 마세요. 체납세액 있으면 상계되니 계좌 확인 잘하세요 :)
지급액 확인은 신청 후에 가능해요. 홈택스에서 신청 후 예상 지급액 조회 가능하지만, 심사 결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 15만 원 미만 상반기분은 12월 지급 안 되고 6월 정산 때 한꺼번에 받아요. 정확한 금액은 지급 직전까지 모를 수 있으니, 계좌번호 꼼꼼히 입력하세요;;
정산 과정도 알아두세요. 반기 신청자는 6월에 연간 정산으로 최종 금액 확정돼요. 과다 지급 시 5년간 차감되거나 가산세(1일 0.022%) 붙을 수 있으니, 소득 변동 있으면 미리 신고하세요. 정기 신청은 연간 소득 기준이라 심사 후 한 번에 지급돼요.
현금 수령도 가능해요. 계좌 미등록 시 국세환급금통지서로 우체국에서 현금 받을 수 있어요. 통지서 도착까지 3-4일 걸릴 수 있으니 신분증 챙겨서 방문하세요. 홈택스에서 계좌 변경도 가능하니, 상황 맞게 조정하면 편리해요 :)
근로장려금 일년에 몇 번 신청 가능?
신청 유형 | 신청 횟수 | 신청 기간 | 지급 횟수 | 대상 |
정기 | 1회 | 5.1.-6.2. | 1회 | 모든 소득 |
반기 | 2회 | 9월, 3월 | 2회 | 근로소득만 |
기한 후 | 1회 | 6.3.-12.2. | 1회 | 모든 소득 |
일 년에 신청 기회는 최대 두 번이에요. 근로소득만 있는 분들은 반기 신청으로 3월과 9월 두 번 신청 가능해요. 정기 신청은 5월에 한 번, 놓쳤다면 기한 후 신청으로 12월까지 한 번 더 기회가 있죠. 반기는 근로소득자 전용이라 사업소득 있으면 정기 신청해야 해요.
지급 횟수도 달라요. 정기 신청은 8월 한 번 지급이고, 반기는 12월과 6월 두 번 받아볼 수 있어요. 기한 후는 1월에 한 번 지급돼요. 반기 신청은 조기 지급으로 빠르게 돈 받을 수 있어 알바생이나 직장인들에게 유리하죠 :)
자동신청도 편리해요. 반기나 정기 신청 시 자동신청 동의하면 2년간 조건 맞으면 알아서 신청돼요. 지급받으면 자동으로 2년 연장되니, 바쁜 분들은 한 번 동의해두면 편리해요. 놓치면 손해니 꼭 챙기세요;;
신청 놓치지 마세요. 신청 기간 놓치면 기한 후 신청해야 하는데, 지급이 늦어져요. 홈택스 앱 깔아두고 알림 설정하면 편리해요. 3월 17일, 9월 15일은 반기 신청 마감일이니 달력에 체크해두세요 :)
일 안 하면 근로장려금 받을 수 있을까?
상황 | 신청 가능 여부 | 조건 | 제한 |
무직 | 불가 | 소득 없음 | 소득 필수 |
일용직 | 가능 | 소득 증빙 | 월 500만 원 미만 |
사업소득 | 가능 | 사업자등록 | 전문직 제외 |
종교인소득 | 가능 | 소득 신고 | 소득 기준 충족 |
일 안 하면 근로장려금 못 받아요. 근로장려금은 근로, 사업, 종교인 소득이 있어야 신청 가능해요. 무직 상태면 소득이 없으니 안 돼요. 일용직이나 알바생도 소득 증빙되면 신청 가능하지만, 월 평균 500만 원 이상이면 제외돼요. 소득 없으면 신청 꿈도 꾸지 마세요;;
일용직도 받을 수 있어요. 일용직은 소득 증빙만 되면 정기 신청으로 8월에 받을 수 있어요. 근로소득만 있으면 반기 신청도 가능하지만, 사업소득 섞이면 반기는 안 되고 정기 신청해야 해요. 소득 자료 꼼꼼히 준비하세요 :)
사업소득도 가능해요. 자영업자는 사업자등록 후 소득 신고하면 신청 가능해요. 단, 전문직(변호사, 의사 등)은 제외되고, 부부합산 소득이 단독 2200만 원, 홑벌이 3200만 원, 맞벌이 4400만 원 미만이어야 해요. 조건 맞는지 확인하세요!
소득 증빙이 중요해요. 소득 없거나 증빙 못 하면 신청 불가예요. 종합소득세 신고 후 홈택스에서 소득 내역 확인하고, 재산 2.4억 미만인지도 체크해야 해요. 자료 제출 안 해도 국세청이 확인하지만, 다르면 증빙 서류 내야 해요 :)
근로장려금 신청 자격과 요건
가구 유형 | 소득 기준 | 재산 기준 | 가구 구성 |
단독 | 2200만 원 미만 | 2.4억 미만 | 배우자, 자녀, 존속 없음 |
홑벌이 | 3200만 원 미만 | 2.4억 미만 | 배우자 소득 300만 미만 |
맞벌이 | 4400만 원 미만 | 2.4억 미만 | 부부 각 300만 이상 |
자녀장려금 | 7000만 원 미만 | 2.4억 미만 | 18세 미만 자녀 |
소득과 재산 기준을 먼저 확인하세요. 2024년 부부합산 소득이 단독 2200만, 홑벌이 3200만, 맞벌이 4400만 원 미만이어야 해요. 재산은 2.4억 원 미만으로, 주택, 차량, 금융자산 다 합쳐 계산해요. 조건 안 맞으면 신청해도 제외되니 홈택스에서 미리 확인하세요 :)
가구 유형도 중요해요. 단독은 혼자 사는 경우, 홑벌이는 배우자 소득이 300만 원 미만이거나 자녀, 70세 이상 부모 부양 시, 맞벌이는 부부 모두 300만 원 이상 소득일 때예요. 자녀장려금은 18세 미만 자녀가 있으면 최대 100만 원 추가로 받을 수 있어요.
제외되는 경우도 있어요. 전문직 사업자나 대한민국 국적 없는 분, 다른 사람의 부양자녀인 경우는 신청 못 해요. 월 500만 원 초과 근로소득자는 반기 신청 불가하고, 사업소득 있으면 정기 신청만 가능해요. 조건 꼼꼼히 확인하세요;;
궁금하면 문의하세요. 홈택스나 국세청 상담센터에서 소득, 재산 자료 확인 가능해요. 신청 전 가구 유형과 기준 맞는지 체크하면 시간 아껴져요. 모르면 상담센터 전화 꼭 해보세요 :)
마무리 간단요약
- 신청 일정 챙겨요. 정기는 5월, 반기는 3월, 9월. 놓치면 12월까지 기한 후 신청!
- 환급은 빠르게. 정기 8월, 반기 6월, 12월. 계좌번호 꼼꼼히 확인하세요.
- 일 안 하면 못 받아요. 근로, 사업, 종교인 소득 필수. 무직은 불가!
- 소득 기준 맞춰야. 단독 2200만, 홑벌이 3200만, 맞벌이 4400만 원 미만.
- 자동신청 편리해요. 동의하면 2년간 자동 신청. 놓치지 말고 동의하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