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잔업수당 계산법 야간 토요일 통상임금까지 엑셀로 쉽게 알아보세요

by HANOEL'S PAPA 2025. 3. 29.

 

 

 

 

 

야근이나 주말 근무로 잔업수당 챙기고 싶다면?
계산법부터 통상임금까지 핵심만 모아봤어요.

 

 

 

 

바쁘신 분은 가장 아래 간단요약 보러가세요 !

아래 목차를 클릭하시면 해당 위치 바로 이동합니다

목차

     

     

     

     

     

     

    잔업수당계산
    잔업수당계산

     

     

     

     

     

     

     

     

     

     

    잔업수당 계산 기본과 통상임금

     

    항목 설명 기준 포함 여부 비고
    통상임금 정기 지급 임금 기본급+고정수당 포함 변동수당 제외
    기본급 소정근로 대가 월급/209시간 포함 주 40시간 기준
    고정수당 정액 지급 직무수당 등 포함 일률적 지급
    변동수당 성과급 등 비정기 지급 제외 조건 충족 시
    잔업 정의 초과 근로 8시간/40시간 초과 - 법정 기준

     

    잔업수당 계산의 기본은 통상임금이에요. 통상임금은 기본급과 매달 정기적으로 나오는 고정수당을 합친 금액이에요. 예를 들어, 월급 209만 원에 직무수당 20만 원 받으면 통상임금은 229만 원이죠. 여기서 시간당 통상임금은 229만 원 ÷ 209시간 = 약 10,957원으로 계산돼요. 이게 잔업수당 계산의 기본이니까 꼭 알아두세요! 변동수당이나 상여금은 통상임금에 안 들어가니 주의해야 해요 :)

     

    기본급만으로 계산하면 안 돼요. 기본급만 쓰면 잔업수당이 적게 나올 수 있어요. 예를 들어, 기본급 200만 원에 수당 30만 원이면, 기본급만 보면 시간당 9,569원이지만, 통상임금으론 10,957원이 맞아요. 법적으로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해야 하니까 회사에서 기본급만 적용하면 문제 제기할 수 있어요;;

     

    잔업수당은 초과 근로에 주는 보상이에요. 근로기준법상 하루 8시간, 주 40시간 넘으면 잔업으로 봐요. 이 초과 시간에 대해 최소 1.5배를 곱해서 줘야 해요. 예를 들어, 시간당 통상임금 10,957원에 2시간 잔업하면 10,957 × 2 × 1.5 = 약 32,871원이 나와요. 정확히 계산하려면 통상임금을 먼저 파악하는 게 중요하죠!

     

    쉽게 계산하려면 엑셀 써보세요. 엑셀에 통상임금과 근무시간 넣고 수식(통상임금 × 시간 × 1.5)만 입력하면 간단해요. 예를 들어, 월 통상임금 나누기 209로 시간당 금액 구한 뒤, 잔업 시간 곱하고 1.5배 하면 끝! 자동 계산으로 실수 줄일 수 있어요. 회사에서 제대로 안 줄 때 확인용으로도 좋아요 :)

     

     

     

     

     

     

     

     

    야간 잔업수당 계산법

     

    구분 시간대 가산율 적용 조건 비고
    야간 22:00-06:00 1.5배 5인 이상 사업장 중복 가산
    연장+야간 22:00 이후 초과 2배 8시간 초과 시 별도 계산
    휴일+야간 휴일 22:00-06:00 2.5배 휴일 근로 시 최대 가산

     

    야간 잔업수당은 밤 10시부터 시작이에요. 근로기준법상 밤 10시부터 새벽 6시 사이 근무는 야간으로 보고, 통상임금의 1.5배를 줘야 해요. 예를 들어, 통상임금 시간당 10,957원이라면 야간 2시간 일하면 10,957 × 2 × 1.5 = 약 32,871원이 기본이에요. 5인 미만 사업장은 의무 아니지만, 대부분 적용하니 확인해보세요 :)

     

    연장과 야간이 겹치면 더 챙겨요. 하루 8시간 넘고 밤 10시 이후까지 일하면 연장 1.5배에 야간 0.5배 추가로 총 2배가 돼요. 예를 들어, 20시-24시 4시간 잔업하면 10,957 × 4 × 2 = 약 87,656원이 나와요. 회사에서 연장만 계산했다면 야간분 추가 요청 가능해요;;

     

    휴일 야간은 최대치예요. 휴일에 야간까지 하면 휴일 1.5배에 야간 1배 더해 2.5배로 계산돼요. 토요일 휴일이라면 22시-24시 2시간 일했을 때 10,957 × 2 × 2.5 = 약 54,785원이죠. 이런 경우가 드물긴 해도 제대로 챙기면 꽤 짭짤해요!

     

    계산 실수 줄이려면요. 엑셀에 시간대별로 나눠서 입력하면 편해요. 예를 들어, ‘연장’, ‘야간’, ‘휴일’ 열 만들어 각각 시간 넣고, 통상임금에 가산율 곱하는 식으로 설정하면 자동 계산돼요. 이렇게 하면 회사 계산 틀렸을 때 바로 알 수 있어요 :)

     

     

     

     

     

     

     

     

    토요일과 특근 잔업수당 계산법

     

    구분 조건 가산율 적용 시간 비고
    토요일 연장 주 40시간 초과 1.5배 전체 근무 휴일 아님
    토요일 휴일 약정 휴일 1.5배 8시간 이내 법정 휴일
    휴일 초과 휴일 8시간 초과 2배 초과 시간 별도 가산
    특근 휴일 근무 1.5-2배 상황별 회사 규정

     

    토요일 잔업은 상황에 따라 달라요. 월-금 40시간 넘고 토요일 일하면 연장근로로 1.5배 적용돼요. 예를 들어, 통상임금 10,957원에 토요일 4시간 일하면 10,957 × 4 × 1.5 = 약 65,742원이 나와요. 토요일이 회사 약정 휴일이면 휴일근로로 보고 8시간까지 1.5배, 초과 시 2배로 계산돼요 :)

     

    휴일 특근은 더 챙길 수 있어요. 토요일이 휴일이면 8시간까지 1.5배, 넘으면 2배예요. 예를 들어, 9시간 일하면 8시간은 1.5배(87,656원), 1시간은 2배(21,914원)로 총 약 109,570원이죠. 회사 규정 따라 다를 수 있으니 근로계약서 확인 필수예요;;

     

    계산법 헷갈릴 땐 이렇게요. 토요일 근무가 연장인지 휴일인지 먼저 파악하세요. 연장なら 1.5배, 휴일なら 8시간까지 1.5배, 초과 시 2배로 계산하면 돼요. 엑셀에 근무 시간과 조건 입력하면 자동으로 나와서 편리해요. 놓치지 말고 챙기세요!

     

    회사마다 다를 수 있어요. 일부 회사는 특근수당을 더 주거나 규정을 다르게 적용해요. 근로계약서나 임금명세서 보고 실제 적용 가산율 확인하세요. 계산 틀리면 노동청에 문의해도 돼요 :)

     

     

     

     

     

     

     

     

    잔업수당 계산기와 엑셀 활용

     

    도구 기능 입력 항목 결과 장점
    온라인 계산기 자동 계산 시급, 시간 수당 총액 간편함
    엑셀 수식 설정 통상임금, 조건 상세 내역 정확성
    수기 계산 직접 곱셈 시급, 시간, 배율 합계 직관적

     

    온라인 잔업수당 계산기는 간편해요. 네이버나 고용노동부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계산기에 시급과 근무시간만 넣으면 바로 나와요. 예를 들어, 시급 10,957원에 연장 3시간 입력하면 약 49,306원 계산돼요. 야간이나 휴일 조건 추가하면 더 정확해지니 급할 때 유용하죠 :)

     

    엑셀은 더 상세하게 계산돼요. 엑셀에 통상임금, 연장/야간/휴일 시간, 가산율 넣고 수식(예: =A1B11.5) 설정하면 돼요. 예를 들어, 10,957원에 연장 2시간, 야간 1시간 넣으면 각각 32,871원, 21,914원 따로 계산돼서 총액 확인 쉬워요. 회사 계산 오류 잡을 때도 좋아요;;

     

    수기로도 할 수 있어요. 간단할 땐 통상임금에 시간, 배율 직접 곱하면 돼요. 예를 들어, 10,957 × 2 × 1.5 = 32,871원처럼요. 간단한 연장 근무만 있을 때 편리하지만, 조건 많아지면 실수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

     

    도구 선택 팁 드릴게요. 급할 땐 온라인 계산기, 정확히 확인하고 싶을 땐 엑셀 추천해요. 엑셀은 한 번 설정하면 계속 써도 되고, 월별 기록 저장도 가능해요. 회사에서 제대로 안 줬을 때 증거로도 쓸 수 있으니 꼭 활용해보세요!

     

     

     

     

     

     

     

     

    잔업수당 제대로 받는 법

     

    항목 방법 주의점 도움처 효과
    근무 기록 출퇴근 기록 정확성 회사 시스템 증거 확보
    계약 확인 근로계약서 수당 조항 인사팀 기준 파악
    임금명세서 항목 점검 오류 확인 급여 담당 증명 가능
    문제 제기 노동청 신고 증거 필요 고용노동부 법적 해결

     

    근무 기록부터 확실히 챙겨야 해요. 잔업수당 제대로 받으려면 출퇴근 시간 기록이 필수예요. 회사 시스템이나 개인 메모로라도 남겨두세요. 예를 들어, 18시 퇴근인데 20시까지 일했다면 그 2시간 증거 있어야 나중에 수당 청구 쉬워요. 기록 없으면 회사에서 모른 척할 수 있으니 꼭 해두세요 :)

     

    근로계약서 꼼꼼히 보세요. 계약서에 잔업수당 조건(1.5배, 2배 등)이 명시돼 있어요. 통상임금 기준도 확인해서 기본급만 적용했는지 체크하세요. 모호하면 인사팀에 물어보고, 문서로 답변 받으면 나중에 분쟁 시 유리해요;;

     

    임금명세서 점검은 기본이에요. 매달 명세서에 잔업수당 항목 있는지, 계산 맞는지 확인하세요. 예를 들어, 야간 2시간 했는데 1.5배 안 된 금액이면 바로 담당者に 말해야 해요. 오류 자주 생기면 엑셀로 따로 정리해두는 것도 좋아요 :)

     

    문제 생기면 노동청 도움 받으세요. 회사에서 수당 안 주면 고용노동부에 신고할 수 있어요. 근무 기록, 명세서 들고 가면 조사해줘요. 최대 2년 치 청구 가능하니 늦기 전에 움직이세요. 법적으로 보장된 권리니까 당당히 챙기세요!

     

     

     

     

     

     

     

     

    마무리 간단요약

    • 통상임금 먼저 계산. 기본급에 고정수당 더해서 시간당 금액 내세요.
    • 야간은 1.5배. 밤 10시 넘으면 더 챙겨요, 연장 겹치면 2배!
    • 토요일은 1.5-2배. 휴일이면 초과 시 2배, 계약서 확인 필수.
    • 엑셀 활용 추천. 조건 넣고 자동 계산하면 편해요.
    • 기록 챙기세요. 근무 시간, 명세서 확보하면 문제없어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