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안전관리계획서 작성대상부터 검토 제출 CSI 등록까지 완벽 정리

by HANOEL'S PAPA 2025. 4. 11.

 

 

 

 

 

건설현장에서 안전사고 걱정되시죠?
안전관리계획서로 위험 줄이는 법 핵심만 빠르게 알려드릴게요.

 

 

 

 

바쁘신 분은 가장 아래 간단요약 보러가세요 !

아래 목차를 클릭하시면 해당 위치 바로 이동합니다

목차

     

     

     

     

     

     

     

    안전관리계획서
    안전관리계획서

     

     

     

     

     

     

     

     

     

     

     

    안전관리계획서 작성대상과 수립대상

     

    구분 대상 공사 세부 조건 적용 시기
    1종/2종 시설물 건설공사 시설물 안전법 적용 2019.07.01 이후
    굴착 공사 지하 10m 이상 토목 공사 포함 2019.07.01 이후
    폭발물 공사 주변 영향 예상 20m 내 시설물 2019.07.01 이후
    고층 건축 10층 이상 16층 미만 신축 공사 2019.07.01 이후
    리모델링/해체 10층 이상 건축물 수직 증축 포함 2019.07.01 이후
    건설기계 사용 타워크레인 등 10m 이상 천공기 2019.07.01 이후

     

    안전관리계획서는 특정 공사에 필수예요. 건설기술진흥법 시행령 제98조에 따르면 1종, 2종 시설물 공사나 지하 10m 이상 굴착 공사는 무조건 작성해야 해요. 2019년 7월 1일 이후 입찰 공고된 공사부터 적용되니까 오래된 공사는 제외돼요. 검색해보니 이런 공사들은 위험도가 높아서 계획서 없으면 큰일 난다고 하더라고요. 발주청이나 인허가기관이 까다롭게 체크해요.

     

    고층 건물 공사도 대상에 포함돼요. 10층 이상 16층 미만 신축이나 10층 이상 리모델링, 해체 공사는 다 해당돼요. 특히 수직 증축 리모델링은 주택법에 따라 더 엄격하게 관리돼요. 타워크레인 같은 건설기계 쓰는 공사도 빠뜨리면 안 돼요. 이런 공사들은 안전사고 위험이 크니까 미리 대비해야죠.

     

    폭발물 사용하는 공사도 주의해야 해요. 주변 20m 안에 시설물이 있거나 100m 안에 가축이 있으면 영향이 예상돼서 계획서 작성 대상이에요. 폭발물 공사는 위험성이 높아 꼼꼼히 작성해야 한다고 검색 결과에 많이 나오더라고요. 현장 상황에 맞춘 계획이 필수예요.

     

    작성 안 하면 과태료 맞을 수 있어요. 건설기술진흥법에 따라 미제출 시 최대 2천만 원 벌금이나 징역 2년 이하 처벌 가능해요. 작성 주체는 건설사업자인데, 대행 업체에 맡기는 경우도 많아요. 검색해보니 소규모 공사는 예외지만, 대상 공사는 절대 빠뜨리면 안 돼요.

     

     

     

     

     

     

     

     

    안전관리계획서 작성 방법과 양식

     

    항목 내용 작성 기준 참고 자료
    총괄 계획 공사 개요 시행규칙 별표7 CSI 양식
    세부 계획 공종별 계획 위험성 평가 PDF 샘플
    안전 조직 인력 배치 조직도 포함 PPT 예시
    점검 계획 주기적 점검 체크리스트 CSI 양식

     

    안전관리계획서는 총괄과 세부로 나눠서 작성해요. 총괄 계획은 공사 개요나 전체 일정 같은 큰 그림을 그리고, 세부 계획은 굴착, 발파 같은 공종별로 위험성을 평가해서 만들어요. 건설기술진흥법 시행규칙 별표7에 기준이 나와 있는데, CSI 사이트에서 양식 다운받아서 쓰면 편해요. 검색해보니 대행 업체들도 이 기준 따라 작성하더라고요.

     

    안전 조직 구성도 빼놓을 수 없어요. 현장 인력 배치랑 책임자를 명확히 적어야 해요. 조직도까지 포함해서 작성하면 검토기관에서 문제 삼을 일 줄어들어요. PPT로 예시 찾아보면 구조 이해하기 쉬워요. 실제 현장 맞춰서 꼼꼼히 작성하는 게 중요하죠.

     

    점검 계획도 구체적으로 적어야 해요. 주기적으로 안전 점검할 계획과 체크리스트를 넣어줘야 해요. 위험 요소 사전 제거가 목적이라 대충 쓰면 안 통과돼요. CSI 양식 보면 필수 항목 나와 있으니 참고하세요. 검색해보니 샘플 PDF도 많아요.

     

    작성 방법은 현장 맞춤이 핵심이에요. 일반적인 양식 쓰되, 공사 규모나 특성에 따라 조정해야 해요. 작성비용은 2-300만 원 선에서 대행 맡기는 경우 많고, 2-3주 걸린다고 하더라고요. 직접 쓰려면 시간 넉넉히 잡아야 해요.

     

     

     

     

     

     

     

     

    안전관리계획서 제출과 CSI 등록

     

    단계 주체 제출처 시기
    작성 건설사업자 발주청 착공 전
    검토 발주청 CSI 통보 후 7일
    등록 발주청 CSI 시스템 검토 후

     

    안전관리계획서는 건설사업자가 착공 전에 작성해요. 발주청이나 인허가기관에 제출하고 승인받아야 하는데, CSI 시스템에 등록하는 게 필수예요. 착공 전 제출이 기본이라 공사 시작 전에 미리 준비해야 해요. 검색해보니 대행 맡기면 절차 간단해진다고 하더라고요.

     

    검토는 발주청에서 진행해요. 제출받은 계획서를 보고 적합성 판단한 뒤 건설사업자에게 통보하죠. 그 후 7일 안에 CSI에 올려야 해요. 국토안전관리원 같은 검토기관에 의뢰하면 더 전문적으로 체크해줘요. 늦으면 과태료 위험 있어요.

     

    CSI 등록은 필수 단계예요. 발주청이 검토 끝난 계획서를 www.csi.go.kr에 등록해야 공식 인정돼요. 등록 안 하면 법적 문제 생길 수 있으니 꼭 확인하세요. 검색해보니 등록 방법은 사이트에 자세히 나와 있어요.

     

    제출 안 하면 큰일 나요. 미제출 시 과태료 최대 2천만 원 맞을 수 있고, 공사 지연될 수도 있어요. CSI 등록까지 꼼꼼히 챙겨야 현장 안전도 지키고 문제도 없어요. 검색 결과 다들 이거 강조하더라고요.

     

     

     

     

     

     

     

     

    안전관리계획서 검토와 비용

     

    구분 검토 기관 공사비 기준 검토비용
    총괄 계획 국토안전관리원 300억 미만 약 200만 원
    총괄 계획 국토안전관리원 300-500억 약 300만 원
    세부 계획 전문기관 공종별 상이 50-100만 원

     

    검토는 국토안전관리원이 주로 맡아요. 총괄 계획은 공사비 따라 비용 달라지는데, 300억 미만은 약 200만 원, 300-500억은 300만 원 정도예요. 검색해보니 공사비 클수록 비용도 올라가더라고요. 발주청이 의뢰하고 20일 안에 결과 나와요.

     

    세부 계획은 공종별로 검토해요. 굴착이나 발파 같은 세부 공사는 전문기관에서 보고, 비용은 50-100만 원 선이에요. 복잡하면 더 비쌀 수 있어요. 검색 결과 대행 업체가 이 부분도 많이 도와주더라고요.

     

    변경 시에도 검토 필요해요. 경미한 변경은 추가 비용 없지만, 큰 변경은 다시 검토받아야 해요. 변경 검토비는 공사비의 30% 정도 추가되고, CSI에 재등록해야 해요. 검색해보니 이거 놓치면 공사 중단될 수도 있대요.

     

    비용 아끼려면 미리 준비하세요. 검토비용은 부가세 제외 금액이라 실제보다 살짝 더 나올 수 있어요. 작성비용 2-300만 원검토비까지 합치면 꽤 부담돼요. 검색해보니 미리 계획 잘 세우면 절약 가능하대요.

     

     

     

     

     

     

     

     

    소규모 안전관리계획서와 공동주택

     

    구분 대상 조건 제출처
    소규모 공사비 1억 미만 지자체 조례 지자체
    공동주택 아파트 등 시설물 안전법 CSI

     

    소규모 공사는 간단한 계획서로 충분해요. 공사비 1억 미만이면 소규모 안전관리계획서로 대체 가능하고, 지자체 조례 따라 달라져요. 지자체에 제출하면 되는데, 검색해보니 서울시는 확대 적용 중이래요. 간단해서 부담 덜해요.

     

    공동주택은 시설물 안전법 따라가요. 아파트 같은 공동주택은 1종, 2종 시설물로 분류돼서 계획서 필수예요. CSI에 등록해야 하고, 검색 결과 관리 주체가 작성한다고 하더라고요. 안전사고 예방에 꼭 필요해요.

     

    소규모는 비용도 저렴해요. 일반 계획서보다 간단해서 작성비 50-100만 원 정도면 돼요. 검토비도 거의 없어서 소규모 공사엔 부담 덜한 편이에요. 검색해보니 지자체마다 양식 달라서 확인 필요해요.

     

    공동주택은 꼼꼼히 챙겨야 해요. 규모 크면 검토비 200만 원 이상 들 수 있고, CSI 등록 필수라 절차 복잡해요. 검색해보니 미제출 시 과태료 크다고 하니까 주의하세요.

     

     

     

     

     

     

     

     

    마무리 간단요약

    • 작성대상 확인하세요. 10층 이상 건물, 굴착 10m 넘으면 무조건 작성해요.
    • 작성법 꼼꼼히. 총괄이랑 세부 나눠서 CSI 양식 따라가세요.
    • CSI 등록 필수예요. 착공 전 발주청 거쳐서 올리세요.
    • 검토비용 챙겨요. 공사비 따라 200-300만 원 나와요.
    • 소규모는 간단해요. 1억 미만이면 지자체에 제출하면 돼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