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청정기에서 냄새가 나거나 성능이 떨어진다면?
삼성, LG, 샤오미, 다이슨 필터와 센서 세척 핵심만 빠르게 알려드릴게요.
바쁘신 분은 가장 아래 간단요약 보러가세요 !
아래 목차를 클릭하시면 해당 위치로 바로 이동합니다
목차
삼성 공기청정기 세척 방법
부품 | 세척 가능 여부 | 세척 방법 | 주기 | 주의점 |
극세필터 | 가능 | 청소기, 미온수 | 2주 | 솔 사용 금지 |
필터세이버 | 가능 | 중성세제, 물 | 2개월 | 완전 건조 |
탈취필터 | 불가 | 교체 | 6-12개월 | 냄새 심하면 교체 |
집진필터 | 불가 | 교체 | 6-12개월 | 물세척 금지 |
센서 | 가능 | 청소기, 부드러운 천 | 2개월 | 긁힘 주의 |
삼성 공기청정기 필터는 두 가지가 세척 가능해요. 극세필터는 큰 먼지를 잡아주는 필터라 2주마다 청소기로 먼지를 털고 미온수로 가볍게 헹궈주면 돼요. 솔로 문지르면 필터 망가질 수 있으니 조심하세요. 필터세이버는 2개월마다 중성세제로 세척하는데, 물기 남으면 지지직 소음 날 수 있으니 그늘에서 24시간 완전 건조 필수예요. 삼성 블루스카이 같은 모델은 후면 커버 분리 후 필터 순서대로 꺼내세요.
탈취필터와 집진필터는 교체해야 해요. 삼성의 숯 탈취필터와 집진필터는 물세척하면 성능 떨어지니까 6-12개월 주기로 새 걸로 갈아줘야 해요. 냄새 심하거나 필터 알림 뜨면 바로 교체하고, 리셋 버튼 3초 눌러주세요. 특히 생선 굽거나 냄새 강한 요리할 땐 공기청정기 끄는 게 필터 수명 늘리는 팁이에요 :)
센서 청소도 잊지 마세요. 레이저 PM 센서나 가스 센서에 먼지 쌓이면 오염도 잘못 감지돼요. 2개월마다 청소기로 주변 먼지 털고 부드러운 천으로 닦아주세요. 긁히면 안 되니까 조심히 다뤄야 해요. 삼성 비스포크 큐브 모델은 클립와이어 분리 후 센서 접근 가능하니 설명서 확인하세요.
냄새 나면 환기부터. 공기청정기에서 비릿한 냄새 나면 필터 오염이나 미생물 때문일 수 있어요. 창문 열고 4-5시간 가동하거나 필터 말려보세요. 그래도 냄새 지속되면 탈취필터 교체해야 해요. 애완동물 키우는 집은 배설물 관리 철저히 해서 필터 오염 줄이는 게 좋아요;;
LG 공기청정기 세척 방법
부품 | 세척 가능 여부 | 세척 방법 | 주기 | 주의점 |
극세필터 | 가능 | 청소기, 물 | 1-2개월 | 완전 건조 |
광촉매 탈취필터 | 불가 | 빛 노출 재생 | 6개월 | 직사광선 피하기 |
집진필터 | 가능 | 중성세제, 물 | 6개월 | 12-24시간 건조 |
PM1.0 센서 | 가능 | 면봉, 물 | 2개월 | 유막 형성 주의 |
워터링 필터 | 가능 | 구연산, 솔 | 6개월 | 40℃ 이하 물 |
LG 공기청정기 필터 세척은 꼼꼼히 해야 해요. 극세필터는 1-2개월마다 청소기로 먼지 털고 물로 헹궈 그늘에서 말리면 돼요. 집진필터는 6개월마다 중성세제로 30분 담갔다가 솔로 닦고 12-24시간 건조해야 해요. 퓨리케어 360 모델은 뒷면 덮개 분리 후 필터 꺼내기 쉬우니 설명서 참고하세요.
광촉매 탈취필터는 세척 대신 재생해요. LG의 광촉매 탈취필터는 물세척 안 되고, 6개월마다 그늘이나 형광등 아래 3시간 노출하면 탈취 성능 회복돼요. 직사광선은 필터 손상시키니 피해야 해요. 냄새 심하면 새 필터로 교체하는 게 낫죠;;
센서 청소는 정밀하게. PM1.0 센서는 2개월마다 면봉에 물 묻혀 렌즈 닦고 마른 면봉으로 물기 제거하세요. 유분 먼지 많으면 유막 생길 수 있으니 깨끗한 물 써야 해요. 퓨리케어 360은 센서 위치가 뒷면 안쪽이라 덮개 분리 필수예요.
워터링 필터는 구연산으로. 가습 기능 있는 모델은 워터링 필터를 물 10L당 구연산 30g 푼 물에 30분 담갔다가 솔로 닦아요. 40℃ 이상 물 쓰면 변형돼요. 세척 후 바로 안 쓸 거면 완전 건조해서 보관하세요 :)
샤오미 공기청정기 세척 방법
부품 | 세척 가능 여부 | 세척 방법 | 주기 | 주의점 |
프리필터 | 가능 | 청소기, 물티슈 | 1-2개월 | 과도한 물 사용 금지 |
EPA/활성탄 필터 | 불가 | 교체 | 3-6개월 | 물세척 금지 |
내부 본체 | 가능 | 물티슈, 청소기 | 3-6개월 | 습기 주의 |
센서 | 가능 | 부드러운 천 | 3개월 | 강한 압력 금지 |
샤오미 공기청정기 프리필터만 세척 가능해요. 샤오미 미에어는 프리필터를 1-2개월마다 청소기로 먼지 털거나 물티슈로 닦아주세요. 물로 세척하면 필터 손상될 수 있으니 과도한 물 사용 금지예요. 후면 커버 열고 필터 꺼내는 방식이라 간단해요. 미홈 앱으로 필터 상태 확인 가능하니 참고하세요 :)
EPA와 활성탄 필터는 교체 필수. 샤오미의 EPA(블루, 그린, 퍼플)와 활성탄 필터는 물세척 안 되고, 3-6개월마다 교체해야 해요. 교체 후 전원 버튼 7초 눌러 타이머 리셋 안 하면 알림 계속 떠요. 필터 교체 전 내부 먼지 물티슈로 닦아주면 성능 좋아져요.
내부 청소도 놓치지 마세요. 필터 교체할 때 본체 내부 에어홀에 쌓인 먼지를 물티슈나 청소기로 닦아주세요. 먼지 많으면 공기 흡입 방해되니까 3-6개월마다 점검하면 좋아요. 습기 남지 않게 건조한 상태로 조립하세요;;
센서 관리도 간단해요. 샤오미 센서는 3개월마다 부드러운 천으로 먼지 닦아주면 돼요. 강하게 누르면 손상될 수 있으니 살살 다뤄야 해요. 미세먼지 수치 잘 안 맞으면 센서 오염 의심하고 청소해보세요. 후면 센서 위치 확인 후 관리하세요!
다이슨 공기청정기 세척 방법
부품 | 세척 가능 여부 | 세척 방법 | 주기 | 주의점 |
HEPA 필터 | 가능 | 찬물, 손세척 | 1개월 | 24시간 건조 |
활성탄 필터 | 불가 | 교체 | 12개월 | 세제 사용 금지 |
촉매 필터 | 불가 | 영구 사용 | 없음 | 손상 주의 |
센서 | 가능 | 부드러운 천 | 2개월 | 물 사용 금지 |
다이슨 HEPA 필터는 찬물로 세척해요. 다이슨 공기청정기의 HEPA 필터는 1개월마다 찬물로 손세척하고, 물 채운 상태로 흔들어 먼지 털어낸 뒤 24시간 자연 건조하세요. 세제나 식기세척기 쓰면 안 돼요. 빅+콰이엇 모델은 필터 분리 간단해서 초보자도 쉽게 할 수 있어요 :)
활성탄 필터는 교체, 촉매 필터는 영구적이에요. 활성탄 필터는 12개월마다 교체해야 하고, 물세척하면 성능 떨어져요. 촉매 필터는 영구 사용 가능이라 관리 안 해도 되지만 손상되지 않게 조심하세요. 필터 교체 시 다이슨 공식 부품 쓰는 게 보증 유지에 좋아요.
센서 청소는 간단하게. 다이슨의 포름알데히드 센서 등은 2개월마다 부드러운 천으로 먼지 닦아주세요. 물 쓰면 안 되고, 강한 압력 피해야 해요. LCD로 오염도 확인 안 되면 센서 오염 의심하고 청소하세요;;
청소 후 성능이 확 살아나요. 다이슨 필터는 0.1마이크론 먼지 99.95% 제거하는 고성능이라 청소 잘하면 공기 질 확실히 좋아져요. 필터 완전히 마른 후 장착 안 하면 모터 망가질 수 있으니 건조 꼼꼼히 확인하세요!
공기청정기 냄새 센서 원리와 관리
센서 종류 | 원리 | 청소 방법 | 주기 | 특징 |
가스 센서 | 냄새 변화 감지 | 청소기, 천 | 2-3개월 | 지속 냄새 미감지 |
PM 센서 | 먼지 개수 측정 | 면봉, 물 | 2개월 | 정확도 유지 |
포름알데히드 센서 | 가스 농도 분석 | 부드러운 천 | 2개월 | 고정밀 감지 |
냄새 센서는 공기 변화를 감지해요. 가스 센서는 냄새의 변화를 감지해 실내 공기 오염도를 체크해요. 하지만 특정 냄새가 계속 머물면 인식 못 할 수 있어서 2-3개월마다 청소기나 부드러운 천으로 먼지 닦아주세요. 삼성 모델은 센서가 사람 코처럼 작동한다고 생각하면 이해 쉬워요 :)
PM 센서는 먼지 개수 세는 원리예요. PM 센서는 공기 흐름 속 먼지 개수를 측정해 미세먼지 농도 알려줘요. LG 퓨리케어는 2개월마다 면봉으로 렌즈 닦아야 정확도 유지돼요. 물기 완전히 제거 안 하면 오염도 잘못 감지될 수 있으니 마른 면봉 필수예요.
다이슨의 포름알데히드 센서는 정밀해요. 다이슨은 가스 농도 분석하는 포름알데히드 센서로 초미세 오염물질까지 잡아내요. 2개월마다 부드러운 천으로 닦아주면 성능 유지돼요. 물 쓰면 안 되고, LCD 수치 이상하면 바로 청소해보세요;;
센서 관리로 성능 업! 센서 청소 안 하면 오염도 잘못 감지돼 공기청정기 효율 떨어져요. 주기적으로 관리하면 실시간 공기 질 정확히 체크 가능해요. 환기 자주 하고 냄새 강한 물질(향초, 디퓨저)은 공기청정기 멀리 두세요!
마무리 간단요약
- 삼성은 극세필터, 필터세이버 세척. 2주, 2개월마다 미온수로, 탈취필터는 교체.
- LG는 워터링 필터 꼼꼼히. 구연산으로 6개월마다 세척, 광촉매는 빛 재생.
- 샤오미는 프리필터만 청소. EPA, 활성탄 필터는 3-6개월 교체, 리셋 필수.
- 다이슨 HEPA는 찬물 세척. 1개월마다, 활성탄은 12개월 교체, 촉매는 영구.
- 센서 관리 중요해요. 2-3개월마다 먼지 닦아주면 공기 질 정확히 체크!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