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묵은팥 삶는 법부터 팥찰밥 만들기까지 전기밥솥 활용법

by HANOEL'S PAPA 2025. 1. 13.

 

 

 

 

묵은 팥으로 팥찰밥 만들기 어렵지 않아요. 팥 삶는 방법부터 비율, 전기밥솥 활용법까지 쉽게 알려드릴게요! 이대로 하면 실패 없이 찰밥 완성~!

 

 

 

 아래 목차를 클릭하시면

해당 위치 바로 이동합니다 

목차

     

     

     

     

     

     

     

    묵은팥 삶는 법
    묵은팥 삶는 법

     

     

     

     

     

     

     

     

     

      1. 묵은팥 삶는 방법

    묵은팥 삶는 법1

    단계 내용
    불리기 묵은팥은 물에 3-5시간 불려줍니다.
    초벌 삶기 팥의 쓴맛 제거를 위해 첫 번째 삶은 물은 버립니다.
    본 삶기 중불에서 40-50분간 끓이며 팥이 눌러질 정도로 익힙니다.

     

    묵은팥은 물에 충분히 불려주는 게 중요해요. 보통 3-5시간 정도 불려야 삶을 때 쉽게 익고 맛도 좋아져요. 안 불리고 바로 삶으면 팥이 잘 익지 않아요. ;; 이 단계, 꼭 빼먹지 마세요.

     

    초벌 삶기는 팥의 쓴맛을 없애는 핵심 과정이에요. 처음 끓인 물은 반드시 버려야 합니다. 이 과정으로 팥 특유의 쓴맛을 제거할 수 있어요. 이걸 생략하면 팥밥에서 쓴맛이 날 수 있어요.

     

    본 삶기는 시간이 좀 걸리더라도 중불로 천천히 익히는 게 좋아요. 팥이 눌러질 정도로 익으면 준비 완료! 팥죽용이라면 더 무르게, 팥밥용이라면 약간 단단하게 조절하세요. 용도에 맞게 삶아야 맛있어요!

     

     

     

     

     

     

     

     

     

     

     

     

      2. 전기밥솥으로 팥 삶기

    묵은팥 삶는 법2

    단계 내용
    물 비율 팥:물 = 1:2
    취사 모드 백미 모드로 1회 취사
    추가 취사 팥이 익지 않으면 물을 추가해 다시 취사

     

    전기밥솥을 사용하면 팥 삶기가 정말 간편해져요~! 씻은 팥과 물을 1:2 비율로 넣고 백미 모드로 취사하면 됩니다. 손쉽게 삶을 수 있으니 바쁜 날에도 문제없어요 :)

     

    취사가 끝난 후 뜸들이기가 중요해요. 취사가 끝나면 10-15분 정도 뜸을 들여 팥이 완전히 익을 수 있도록 해주세요. 이 과정을 생략하면 팥이 덜 익을 수도 있어요.

     

    팥이 충분히 익지 않았다면 당황하지 마세요! 물을 조금 더 추가한 뒤 한 번 더 취사하면 됩니다. 전기밥솥은 물 조절과 추가 취사가 간편해서 초보도 쉽게 도전할 수 있어요. : )

     

    남은 팥물도 버리지 말고 활용하세요. 팥 삶은 물을 버리면 아까워요. 팥물로 밥을 지으면 더 고소하고 맛있답니다~!

     

     

     

     

     

     

     

     

     

     

     

     

     

     

      3. 팥찰밥 만드는 과정

    묵은팥 삶는 법3

    단계 내용
    찹쌀 불리기 찹쌀은 2-3시간 불립니다.
    팥 삶기 팥은 미리 삶아둡니다.
    취사 찹쌀, 팥, 물, 소금을 넣고 취사합니다.

     

    팥찰밥의 첫걸음은 찹쌀 불리기입니다. 찹쌀은 물에 2-3시간 정도 불려주세요. 너무 오래 불리면 밥이 질어질 수 있으니 적당한 시간이 중요해요. ;; 너무 오래 불리지 마세요.

     

    팥은 미리 삶아서 준비하세요. 팥을 바로 밥에 넣으면 익는 시간이 달라질 수 있어요. 미리 삶아둔 팥을 사용하면 찰밥이 훨씬 고르게 익어요. 팥 삶는 과정을 꼭 챙기세요!

     

    취사는 물과 소금 양 조절이 포인트입니다. 물은 찹쌀과 팥을 합친 양의 1.2배, 소금은 그 합친 양의 1% 정도 넣으면 딱 좋아요. 소금 간을 맞추면 팥의 고소한 맛이 더 살아나요~!

     

    취사 후 뜸 들이기는 필수! 취사가 끝난 뒤 10-15분간 뜸을 들인 후 골고루 섞으면 밥과 팥이 잘 어우러져요. 팥찰밥은 따뜻할 때 먹어야 더 맛있답니다 : )

     

     

     

     

     

     

     

     

     

     

     

     

     

     

      4. 찹쌀과 팥의 비율 조절

    묵은팥 삶는 법4

    비율 특징
    찹쌀 3: 팥 1 기본 비율
    찹쌀 4: 팥 1 팥 맛이 약한 버전
    찹쌀 2: 팥 1 팥 맛이 강한 버전

     

    찹쌀과 팥의 비율은 개인 취향에 따라 달라요. 가장 기본적인 비율은 3:1이에요. 팥 맛이 너무 강하지 않고 적당히 어우러지죠. 가족 모두가 좋아하는 맛을 원한다면 이 비율로 시작해 보세요.

     

    팥 맛을 줄이고 싶다면 찹쌀 4: 팥 1로 해보세요. 팥 맛이 싫은 아이들도 거부감 없이 먹을 수 있을 거예요. 대신 팥물은 꼭 넣어 고소함을 살려보세요.

     

    팥의 풍미를 강조하고 싶다면 2:1 비율로 도전하세요. 팥이 더 많이 들어가면 밥의 색감도 붉고 진하게 나옵니다. 팥 좋아하는 분들은 강추!!!

     

     

     

     

     

     

     

     

     

     

     

     

     

     

      5. 팥밥 맛있게 만들기

    묵은팥 삶는 법5

    설명
    팥물 활용 팥 삶은 물로 밥물 사용
    부재료 추가 밤, 대추, 은행 등 추가
    소금 간하기 쌀과 팥 양의 1%

     

    팥 삶은 물은 절대 버리지 마세요! 이 물로 밥을 지으면 맛이 훨씬 고소해져요. 팥물에는 팥의 영양분이 듬뿍 들어있으니 버리면 너무 아깝잖아요 ;;

     

    부재료를 넣으면 찰밥의 맛이 더 풍부해져요. 밤, 대추, 은행 등을 넣으면 영양도 챙기고 보기에도 예쁘답니다. 들깨가루나 참깨를 뿌려도 고소함이 더해져요~!

     

    소금 간을 꼭 챙기세요. 소금을 너무 많이 넣으면 짜고, 적게 넣으면 싱거워요. 쌀과 팥 합친 양의 1% 정도면 딱 적당해요. 소금 간은 팥의 단맛을 더 살려줍니다. : )

     

    팥밥은 따뜻할 때 가장 맛있어요. 식으면 질감이 단단해질 수 있으니 갓 지은 밥을 바로 드셔보세요. 따끈따끈한 팥밥, 생각만 해도 군침 도네요~!

    댓글